-
Transaction 트랜잭션의 개념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더라도 항상 모순이 없는 정확한 데이터를 유지해야 한다. 장애 상황에서 마찬가지다. DBMS는 데이터가 정확하고 일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중에 하나가 트랜잭션이다. 트랜잭션은 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연산들을…
🗂️
🗓️
-
Normalization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한 후 설계 결과물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잘못 설계된 데이터베이스는 이상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 현상 Insertion anomaly 삽입 이상 새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해 불필요한 데이터도 함께 삽입해야 하는 문제 위 릴레이션에서 새로운 tuple을 삽입하려면 이벤트번호과 당첨여부까지…
🗂️
🗓️
-
1) 안건 2) 여러가지를 다 같이 진행하는 것은 어떤가요? 3)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 책 4) (자동빌드 이야기 하다가) git flow : 브랜치 관리 전략
-
-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데이터가 저장되기 시작하면 구조를 변경하기 매우 어렵다. 저장된 데이터와 설계된 구조를 모두 지우고 데이터베이스 scheme을 재작성 해야하는 것은 물론,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코드 역시 수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많은 라이브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계속…
🗂️
🗓️
-
Relation Data model 릴레이션의 예시 Attribute 속성 : 각 데이터를 의미하는 이름 Tuple 투플 : entity instance, record. Domain 도메인 : 속성의 타입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age는 int로 정의할 수 있다. Null Degree 차수 : attribute의 갯수 여기서는 7개다 Cardinality 카디널리티 :…
🗂️
🗓️
-
Data modeling 데이터 모델링의 과정 개념적 모델링 : 추상화 과정을 통해 중요한 데이터를 추출해 나열한다. 논리적 모델링 : 나열한 데이터의 구조를 결정하고 표시한다. 이 과정을 굳이 분리하지 않고 데이터 모델링으로 이야기한다. 데이터 모델의 구성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모델리의 결과물을 표현하는 도구.…
🗂️
🗓️
-
Divide and conquer 문제를 쪼개서 각각 따로 처리한 다음 결과를 합쳐나가는 방법. Merge 배열의 길이가 1이면 정렬이 끝난 것이다. 아니라면 배열을 반으로 나눠서 왼쪽과 오른쪽을 따로 정렬한다. 둘 다 정렬이 끝나면 merge라는 작업을 통해 배열을 합쳐준다. Merge operation 이미 sorted인 2개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