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갑습니다.


최근 글 목록

  • 후속편 안내 본 글이 인기가 좋아 후속편을 작성했다. 아래 간단히 배포하는 것 보다 좀 더 세분화 된 내용을 담았다.글 보러가기 GitHub Actions CI/CD GitHub Actions workflow deploy.sh 내용 (20210920 업데이트) GitHubs Atcions test

    🗓️


  • MariaDB Docker 설치 DBeaver 설치 DB 생성 boot 프로젝트 생성 mariadb driver setup application.properties insert하는 컨트롤러 작성 POST 테스트 Select기능 만들기 Mapper Controller GET 테스트 Insert 개선 보통 insert작업을 하면 0이나 1로 리턴값을 받기 보다는 전체의 값을 반환 받는다. 그러나 id의…

    🗂️

    , ,

    🗓️


  • 가상 메모리 가상 메모리라는 것은 프로세스 전체가 메모리 내에 올라오지 않더라도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의 주요 장점중 하나는 사용자 프로그램이 물리 메모리 보다 커져도 된다는 점이다. 배경 많은 경우에 프로그램 전체가 한꺼번에 메모리에 늘 올라와있어야 하는것은 아니다 아래의 예시가…

    🗓️


  •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에게 메모리를 할당하는 방법 컴퓨터 시스템에서 페이징의 동작 방법 배경 메모리는 각각 주소가 할당된 이련의 바이트들로 구성된다. CPU는 프로그램 카운터가 지시하는 대로 메모리로부터 다음 명령어를 가져온다. 명령어는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데이터를 더 가지고 올수도 있고 내보낼 수도 있다. 기본…

    🗓️


  • CPU 스케줄링 스레드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에서는 실질적으로 운영체제는 프로세스가 아니라 커널 수준 스레드를 스케줄 한다. 프로세스 스케줄링과 스레드 스키줄링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스케줄링 개념을 논의하는 경우 프로세스 스케줄링을 사용하고 스레드에 국한된 개념을 가리키는 경우 스레드 스케줄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기본 개념 단일 프로세서…

    🗓️


  • 프로세스 동기화 협동 프로세스는 시스탬 내에서 실행중인 다른 프로세스의 실행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는 프로세스다. 협동 프로세스에서 데이터 공유는 동시접근에 의한 데이터의 비 일관성을 낳을 수 있다. 협동 프로세스의 질서있는 실행을 보장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기법을 알아보자. 배경 프로세스는…

    🗓️


  • Object class java.lang 패키지 모든 클래스의 최상위 클래스 Object 주로 사용되는 Object클래스의 메소드 toString() 메소드 equals() 메소드 hashCode() 메소드 clone() 메소드 String class StringBuffer와 StringBuilder 활용 String.intern() Wrapper class 기본 자료형을 위한 클래스 오토박싱과 언박싱 Class class Reflection programming

    🗓️


  • 직렬화 직렬화와 역직렬화 클래스의 상태를 저장해 전송하거나 저장할 일이 있다. 그럴때 인스턴스의 어느 순간을 저장하는것을 직렬화라고 한다. (Serialization) 인스턴스의 저장된 상태를 다시 복원하는 것을 역직렬화라고 한다. (Deserialization) 직렬화란 간단하게 인스턴스의 내용을 연속 스트림으로 만드는 것이다. 스트림으로 만들어야 파일에 쓸 수도 있고…

    🗓️